퇴직연금제도 개요
기존의 퇴직금 제도는 매월 일정액을 퇴직금으로 적립하고 직원이 퇴사할 때 목돈으로 지급하는 방식으로 사내에 자금이 적립됩니다.
반면 2005.12.1일부터 시행된 퇴직연금은 외부기관(금융기관)에 퇴직금을 적립하여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안정적으로 지급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기존 회사가 갑자기 도산하거나 지급불능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보완한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퇴직연금 유형 구분
■ 확정급여형 (DB, Defined Benefit)
(연금 총액이 기존 퇴직금 총액과 같습니다)
■ 확정기여형 (DC, Defined Coontribution)
(기업으로부터 받은 퇴직적립금을 근로자가 직접 선택한 금융상품에 운용)
퇴직연금제도 시행 시기
구분 |
2008년~2010년 |
2011.01.01 이후 |
퇴직금 사내적립 |
가능 |
가능(미정) |
퇴직신탁/보험 |
기존거래가능 |
거래불가(폐지) |
퇴직연금제도 |
대통령령에 의해 5인 미만 사업장에 확대 |
가능 (의무화 시기 미정) |
퇴직연금제도 종류 및 특징
구분 |
퇴직금제도 |
퇴직연금제도 | |
확정급여형 (DB) |
확정기여형 (DC) | ||
개요 |
기존 퇴직금 방식 |
노사가 사전에 퇴직시 연금급여를 확정하는 퇴직급여제도 |
기업의 부담금을 사전에 확정한후 근로자의 적립금운용실적에 따라 연금급여를 지급하는 퇴직급여제도
|
부담금주체 |
사업주 |
사업주 |
사업주 |
급여형태 |
일시금 |
연금 또는 일시금 | |
급여수준 |
계속근로년수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 |
정해진 급여공식에 따라 사전적으로 정해짐 |
연간 임금 총액의 적립금 운용결과에 따라 근로자별로 다름 |
적립금 운용 책임 |
사업주 |
사업주 |
근로자 |
사용자 부담수준 |
없음 |
없음 |
연간 임금총액의 |
적립방식 |
사내적립이 대부분 |
부분 사외적립 (60% 이상) |
전액 사외적립 |
연금수리 필요여부 |
불필요 |
필요 |
불필요 |
주요대상 |
전체 기업 |
대기업, 사외적립 대체 |
연봉제, 중소기업 |
지급보장 |
불가 |
의무적립금제도 |
상품운용실적에 |
기업부담 |
변동 가능 |
변동 가능 (수익률이 높을 경우) |
변동 불가 |
중도인출 |
중간정산 가능 |
불가능 |
대통령령이 정하는 |
손비인정 |
퇴직금 지급 시 |
적립 시 100% |
퇴직연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서울신문에서 평생월급 퇴직연금 퇴직연금 제도 Q&A 로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관련 자료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1) 무주택자 주택구입
2) 본인과 직계가족 6개월 이상 요양
3) 천재지변 등
퇴직연금의 필요성
근로자 입장 |
회사 입장 |
- 기업의 도산 적립 퇴직금에 대한 보장 - 퇴직시 연금 또는 일시금 선택 가능 - 연금 수급시 과세가 이연되어 절세효과 - 개인 추가 입금분은 개인연금 소득공제에 |
- 근로자 노후보장으로 고용안정 - 근로자의 복리증진을 통한 근로의욕 고취 - 임금피크제, 연봉제 실시가 용이 - 퇴직연금 적립액 임금채권 차감 없음 - 사외적립금 적립시점에 100% 손비인정 |
퇴직연금 가입 현황
- 5인 이상 전체 상용근로자의 36.92%인 총 2,856,863명 가입
구 분 |
합 계 |
DB형** |
DC형 |
IRA 특례 |
개인형 IRA | |
근로자수 (%) |
2,856,863 (100) |
2,232,996 (78.2) |
536,047 (18.8) |
69,879 (2.4) |
17,941 (0.6) | |
업 권 별 |
은행 |
1,519,956 |
1,069,584 |
373,172 |
67,504 |
9,696 |
생보 |
655,149 |
591,214 |
58,619 |
2,186 |
3,130 | |
증권 |
486,400 |
401,421 |
80,268 |
121 |
4,590 | |
손보 |
195,358 |
170,777 |
23,988 |
68 |
525 |
퇴직연금 및 보험료 회계처리 및 세무조정방법
■ 퇴직연금의 회계처리 및 세무상 손금인정 범위
구 분 |
확정급여형(D/B) |
확정기여형(D/C) |
기업회계상 처 리 |
회사의 연금부담금을 퇴직연금운용자산 |
회사의 연금부담금을 퇴직급여로 처리 (퇴직시 회계처리 없음) |
세법상 처 리 |
한도 내 손금인정 (기존의 퇴직보험료와 동일) |
전액 손금인정 |
참조 : 퇴직보험료 손금산입범위액 계산 방법
손금산입한도액 = (A – B)와 ©중 적은 금액 | ||||
사업연동 종료일 현재 퇴직급여 추계액 |
- |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퇴직급여충당금 잔액 (부인누계 |
= |
퇴직보험료 등 손금산입 |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단체퇴직보험예치금 등 |
- |
신고조정 또는 결산조정에 의해 이미 손금산입한 |
= |
손금산입대상 보험료 등(C) |
참조 : 퇴직보험료 회계처리 및 세무조정방법
○ 퇴직보험료 등을 납입하고 퇴직보험예치금 등으로 자산계상한 경우에는
- 결산조정에 의해 법인의 손금으로 계상하지 아니하였더라도
- 세무계산상(신고조정) 손금에 산입할 수 있습니다.
○ 퇴직보험료 등을 손금산입한 법인의 임원 또는 사용인이 실제로 퇴직하는 경우
손금산입할 퇴직금의 범위액은
- 퇴직급여지급규정에 의한 퇴직금상당액에서 당해 사용인의 퇴직으로 인하여
보험회사 등으로부터 수령한 퇴직보험금, 퇴직급여충당금 순으로 차감한 금액
으로 함.
- 다만, 신고조정에 의하여 퇴직보험료 등을 손금에 산입한 경우 당해 퇴직보험금
상당액을 퇴직금으로 계상한 후 동 금액을 익금에 산입해야 함.
구분 |
결산조정 |
신고조정 |
보험료 100 납입시 |
퇴직보험예치금 100 / 현금 100 |
퇴직보험예치금 100 / 현금 100 |
퇴직보험충당금 전입액 100 / 퇴직보험충당금 100 |
(세무조정) 퇴직보험료 100 손금산입(△유보) | |
퇴직금 150 지급시 (퇴보 80 포함) |
퇴직보험충당금 80 / 퇴직보험예치금 80 퇴직급여충당금 70 / 현금 70 |
퇴직급여충당금 150 /퇴직보험예치금 80 / 현금 70 |
(세무조정) 퇴직보험료 80 익금산입(유보) |
* 참고문헌 및 도움 ;
▶ 국세청 국세법령정보시스템
▶ 기업은행 퇴직연금
▶ 안세회계법인
* 퇴직연금 관련사이트 ;
▶ 노동부 퇴직연금
▶ 금융감독원 퇴직연금 종합안내
▶ 기업은행 퇴직연금 - 검색 또는 Home > Rich상품몰 > 펀드 > 퇴직연금
▶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
▶ 삼성생명 퇴직연금
▶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
* 퇴직연금 수익율 비교 ;
▶ 전국은행연합회 : 은행 사업자의 수익율 비교 (바로가기)
▶ 한국증권업협회 : 증권회사 사업자의 수익율 비교 (바로가기)
▶ 생명보험협회 : 생명보험회사 사업자의 수익율 비교 (바로가기)
▶ 손해보험협회 : 사업자의 수익율 비교 (바로가기)
* 다운로드 ;
많은 분들이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특히 자료를 출력해서 보고 싶다는 분이 많으셔서
이번 자료부터는 PDF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최신 세무 회계 정보
- 2010년 2/4분기 세무달력, 주요세무정보요약 plus
- 직장인의 비과세수당 및 출산.보육수당 활용팁
- [절세] 부가가치세 신고 관련 절세 Tip
세무회계 및 지식 정보
- 접대비와 비용을 구분하는 방법, 회계 분개만 잘해도 절세가 된다면 ?
- 세무상 비용 인정을 받기 위한 적격증빙은 무엇일까 ?
- 혼동하기 쉬운 급여의 비과세항목 및 꼭 알아야할 Tip
- 종업원분 지방소득세 과세표준 및 근로소득의 범위
'세무 회계 정보 > 최신 회계세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업무 50%가 절감되는, 통장 입출금내역 전표자동화 (6) | 2010.05.27 |
---|---|
비영업용 소형승용차 구입 및 임차 유지 비용의 매입세액공제 기준 (28) | 2010.05.21 |
퇴직연금 제도 근로자에게 유리할까 ? 회계처리와 세무방법 (19) | 2010.05.12 |
종업원분 지방소득세 과세표준 및 근로소득의 범위 (16) | 2010.05.07 |
개인카드영수증 회사증빙처리 안해주는 이유가 뭘까 ? (30) | 2010.04.30 |
2010년 5월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 대상자 및 세액계산방법 (16) | 2010.04.3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 퇴직연금.. 관심은 가는데 이거 뭐이리 어려워요~~ 어흑
2010.05.12 08:33 [ ADDR : EDIT/ DEL : REPLY ]와우 첫댓글을 러브드웹님이
2010.05.12 08:50 신고 [ ADDR : EDIT/ DEL ]너무 감사합니다.
지난주 토요일 잘 모이셨어요 ~
다음 모임에는 꼭 초대해주세요 ^^
오...+_+ 제겐 아직 복잡하지만 , 언젠가 저도 신경써야할 날이 올 것 같아요!
2010.05.12 09:54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네 ^^
2010.05.12 14:46 신고 [ ADDR : EDIT/ DEL ]직장생황을 하시면 그때 고민하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오오~ 한눈에 정리되는군요~
2010.05.12 10:00 [ ADDR : EDIT/ DEL : REPLY ]퇴직금은 막연히 퇴직할 때 한꺼번에 받겠구나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우리회사는 어떤식으로 운영되고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감사합니다.
2010.05.12 14:47 신고 [ ADDR : EDIT/ DEL ]요즘은 퇴직연금으로 가입하면
연금식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어..살짝 어렵군요;; 천천히 정독해 보겠습니다^^
2010.05.12 11:40 [ ADDR : EDIT/ DEL : REPLY ]네 괜찮습니다.
2010.05.12 14:47 신고 [ ADDR : EDIT/ DEL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요즘 퇴직연금으로 주식투자 많이 하지 않나요
2010.05.13 14:19 [ ADDR : EDIT/ DEL : REPLY ]선진국에서는 그비율이 엄청 높다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초보단계 같아요
저희 회사도 투자할려고 하는것 같더라구요
맞습니다 ...
2010.05.13 19:24 신고 [ ADDR : EDIT/ DEL ]잘 아시네요 ㅎㅎㅎ
다만 확정기여형의 경우 수익율에 따라 퇴직금이
줄어들 수 있어서 어느게 좋은지
고민이 필요합니다 ~~~
새로운 글이 올라와서 @.@ 구경왔습니다.
2010.05.13 17:55 [ ADDR : EDIT/ DEL : REPLY ]웅이아뿌님 티스토리 에디션 발행이 무엇인가요?? @.@
잡지책처럼 앞표지만 발행되는 것인가요??
글 클릭이 안되고 표지만 보이다가, 지금보니 ^^; 다시 되네요...흠..
요게 티에디션으로 발행을 해본
2010.05.13 19:22 신고 [ ADDR : EDIT/ DEL ]테스트 글입니다.
http://v.daum.net/link/7013343
메일링, 웹진처럼 화면을 꾸며서
한페이지로 여러글을 모아서 발행하는 것입니다.
아.넵. 저도 구독하고 나서..
2010.05.13 20:36 [ ADDR : EDIT/ DEL ]웅이아뿌님 첫 글이 그 글이라 보았는데, 첫화면만 있고
안보여서. '이게 뭐지' 당황했었습니다. ㅎ
렉이 있는지 처음에는 클릭도 안되더라고요..흠..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밤 보내세요!!(_ _)
정말 좋은 정보네요~
2010.05.13 19:25 [ ADDR : EDIT/ DEL : REPLY ]감사합니다 ^^
2010.05.13 20:23 신고 [ ADDR : EDIT/ DEL ]좋은 하루 되세요 ~~~
확정기여형(DC)가입한경우 법인임원(대표이사외)도 근로자와100%손금인정가능한지요?
2010.06.05 10:07 [ ADDR : EDIT/ DEL : REPLY ]예전 판례를 참조하면 될것 같습니다.
2010.06.07 09:53 신고 [ ADDR : EDIT/ DEL ]네 손금에 인정 가능합니다
법인세과-4271, 2008.12.30
> 질문내용
: 법인이 임원에 대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손금산입 가능여부
> 답변내용
: 내국법인이 임원 또는 사용인의 퇴직을 연금의
지급사유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의 보험료 등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당해 사업연도의 소득금액계산에
손금에 산입하나, 설정 전의 근무기간에 대한
부담금을 지출한 경우 그 지출금액은 퇴직급여충당금
지출된 것으로 보아야 함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이번달부터 우리 회사도 퇴직연금제 실시 합니다. 경리가 없는 관계로 사장님이 직접 계산 하시는데....월급에 이 퇴직연금불입액을 포함시켜서 소득세나 국민연금.의료보험등 각종세금을 떼고 있더군요^^; 이 퇴직연금은 나중에 찾을때 따로 세금을 내는걸로 알고 있는데....이러면 이중과세가 되는거 아닌지요?? 그리고 제가 알기론 이 퇴직연금은 월급이 아니기에 이렇게 하면 않되는걸로 알고 있는데...궁금 합니다. ychkim30@freechal.com이나 ych-kim30@daum.net 로 상세한 사항을 받고 싶습니다
2010.08.24 11:48 [ ADDR : EDIT/ DEL : REPLY ]정기여형의 경우 퇴직금불입액을 퇴직급여
2010.08.24 15:21 신고 [ ADDR : EDIT/ DEL ]즉 비용처리하는것이지 급여액에 포함하여
원천징수하면 되지않습니다
확정기여형의 경우 은행에서 알아서 퇴직소득세를
징수하는 거이며 확정급여형의 경우는 회사가 퇴직
소득세를 징수하는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