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지식 정보/경리.회계 기초

어음과 수표 쉽게 배우기 - 알고 나면 쉬운 경제상식

 

 


오늘은 주변에서 쉽게 사용하는 어음과 수표에 대하여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하고 부도가 어떻게 나는지에 대하여 가볍게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

어음과 수표란...


중세 이탈리아.이집트 등의 지중해 연안 도시들은 세계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였습니다.
각국 상인들이 섞여 장사를 하면서 화폐를 다른 도시에 송금할 필요가 생겨났습니다.
이 때 생각해낸 것이 어음이었습니다.

예컨데 제네바의 상인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보석을 사려고 할 때 돈을 들고 가려면
위험하지 않겠습니까. 따라서 상인은 제네바에서 환전상에게 현금을 준 뒤 어음을 받습니다.
알렉산드리아에 가서 제네바의 환전상과 미리 약속한 환전상을 찾아가 어음을 내밀고 현지
화폐로 받은 뒤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게 되지요.

제네바와 알렉산드리아의 환전상끼리는 나중에 별도 수단을 통해 정산을 합니다.

'상인의 지폐' 라고 불리우는 어음은 이렇게 시작됐지만 오늘날 그 종류와 쓰임새는
무척 다양합니다.

영국 런던에서는 어떤 여성이 주차위반을 했다가 벌금을 물게 되자 화가 나서 화장지에 벌금액을
쓴 뒤 경찰에게 싸인해 '내 수표' 라며 줬다는 일화도 있습니다.
이 수표는 그 여성의 거래 은행으로 어김없이 돌아와 예금액을 빼내갔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들이 이런 어음.수표는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발행한 '통일 어음.수표용지' 만 인정하거든요.
이 용지에는 금액.발행일.만기일.발행인.수취인 등을 적도록 양식이 되어 있습니다. 

 백지어음.백지수표라는 말을 들어보셨지요?

이런 어음.수표는 금액난 등을 빈칸으로 놓아 어음을 받은 사람이 마음대로 금액을 써넣을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영화를 보면 가끔 등장하는 데 사실 이런 것은 큰 일 나기 십상이지요.
소지자가 얼마를 써넣을지 모르는데다, 그 금액을 전액 갚아줘야 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실제 상거래에선 이런 경우는 없다고 봐도 됩니다.

어음 중에는 속칭 '문방구 어음' 이라고 해서 문방구에서 살 수 있는 사제 용지에 임의로
작성한 어음도 있습니다. 은행은 안 받아주지만 개인간의 거래에서는 간혹 쓰이기도 하고,
또 어음 발행인이 소지인에게 법적인 지불 의무도 있습니다.

어음은 상업어음과 융통어음으로도 분류됩니다. 상업어음은 일명 진성어음이라고도 하는데
상거래 과정에서 발행한 어음을 말합니다. 즉 물건 대금 등으로 지급하고 받은 어음입니다.

융통어음은 거래대금으로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오직 돈을 조달하기 위해 남의 어음을 빌려
쓰는 것으로서 '빈어음' 이라고도 합니다.
진성어음에 비해 융통어음은 나중에 부도날 위험이 높지요.

표에도 당좌수표 외에 보증수표라고 불리는 자기앞수표와 개인이 은행에 가계종합예금
계좌를 개설하고 일정한 금액 한도안에서만 발행하는 '작은 당좌수표' 격인 가계수표 등이
있습니다.

음은 배서.양도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3자에게 넘길 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무역업체로부터 어음을 받은 제조업체가 다시 부품을 살 때 어음의 뒷면에 배서
(자신의 이름을 적고 도장을 찍는 것)를 해서 넘겨주면 이를 받은 부품업체는 그 어음을
만기 때 은행에 가져가 현금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어음은 할인도 됩니다. 어음을 갖고 있는 기업이 돈이 급하게 필요한데 만기는 아직 되지
않았을 경우
은행에 찾아갑니다.
그러면 은행은 어음을 받고 만기 때까지의 이자를 뺀 차액을 현금으로 줍니다.
이를 할인 받았다고 하고, 그때 적용되는 이자율은 할인율이라고 합니다.


부도.도산.청산.파산.폐업.퇴출 이란...


요즘 신문이나 TV를 보면 '어느 기업이 망했다' '부도를 냈다' 는 뉴스가 많이 나오지요.
청산.폐업 등은 뜻은 좀 다르지만 모두 '기업 사망' 에 관한 용어입니다.

부도는 어음이나 당좌수표를 제때 갚지 못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은행에서 받은 대출금을
못 갚을 때는 연체라고 부르며 부도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부도가 난다고 곧 기업이 망하거나(도산)없어지는 것(청산 또는 폐업)은 아니지요.
물론 부도가 나면 신용을 잃게 되고 은행과 거래도 못하게 돼 도산할 가능성이 높기는 합니다. 


 부도에 대해...

우리가 보통 물건을 살 때는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쓰지만 기업끼리 물건을 사고 팔 때는
대부분 어음이나 당좌수표를 씁니다. 어음과 당좌수표는 상대방에게 일정 금액을 언제까지
갚겠다고 약속한 문서입니다.

기업이 어음이나 당좌수표를 사용하려면 우선 은행에 당좌예금을 들어야 합니다.
그러면 은행은 기업의 신용도를 감안해서 당좌거래를 허가하면서 어음.수표 용지를 나눠줍니다.
기업은 필요한 물건을 산 뒤 현금대신 어음이나 수표를 주지요.

무역업체가 가전제품 제조업체한테 물건을 사 외국에 수출한다고 합시다.
이 때 보통 현금 대신 어음을 주고 물건을 사죠.
제조업체는 이 어음으로 협력업체에서 원자재나 부품을 살 수 있어요.
어음은 이렇게 기업 사이에서 현금처럼 돌아다닙니다.

이 어음을 갖고 있는 기업은 어음을 발행한 기업이 돈을 갚겠다고 어음에 표시한 날짜
(만기)가 됐을 때 자기가 거래하는 은행에 찾아가서 어음을 현금으로 바꿔 달라고 요청
하면 됩니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 '교환의뢰' 라고 하죠.

그러면 이 어음을 받은 거래은행(제시 은행)은 처음 어음을 발행한 무역업체가 거래하는
은행(지급 은행)에 어음을 건네주고 어음에 적힌 금액만큼 돈을 받은 뒤 그 돈을 협력업체의
예금계좌에 넣어 줍니다.

이때 전국의 은행마다 자기네들끼리 어음을 일일이 교환하려면 무척 복잡하겠지요.
그래서 은행들은 어음교환소라는 곳을 만들어 이 곳을 통해 매일 어음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런 어음교환소는 현재 전국 곳곳에 51개소가 있어요.

당좌수표는 어음보다 더 현금에 가깝습니다. 어음은 만기일이란 게 있어서 그 날이 되기
전에는 은행에서 현금으로 바꿔주지 않아요. 그러나 당좌수표는 받은 당일에도 은행에
가면 현금을 내줍니다. 만기가 따로 없이 언제든지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지요. 

 어음과 당좌수표가 어떻게 부도가 나는지 궁금하죠

상대방 은행에서 어음을 받은 은행은 어음을 발행한 무역업체의 당좌예금 계좌에서
어음액 만큼을 빼어서 상대방 은행에 줍니다.

그런데 이 계좌에 돈이 없으면 문제가 생기죠. 은행은 기업에 어음 대금을 입금하라고 독촉
합니다. 은행 영업시간이 끝날 때까지 입금을 못하면 지급은행은 일단 이 기업을 부도 처리
합니다. 이를 1차 부도라고 합니다.

1차 부도를 낸 기업이 다음날 은행이 문 닫을 때까지 돈을 넣지 못하면 이 기업은 최종 부도
처리되고 어음교환소는 모든 은행에 '이 기업은 부도를 냈다' 고 통보합니다.

이 때부터 이 기업은 모든 은행과 당좌거래는 물론 대출도 받지 못하게 됩니다.
이튿날 돈을 넣었더라도 1년에 1차 부도를 4번 내면 4번째에는 다음날까지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최종 부도처리 됩니다. 이것이 부도의 가장 흔한 경우죠.

그러나 부도는 이밖에도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때로는 발행기업이 어음을 막을 돈은 있지만 지급을 거절하기도 합니다.
물건을 받기로 하고 어음을 발행했는데 물건이 도착하지 않아 못주겠다고 거절하는
경우이지요.

또 분실.도난.위조.변조된 어음이나 어음에 반드시 찍혀야 할 인감 도장 등이 빠진
불완전한 어음의 경우에도 지급이 중지됩니다.
이런 경우엔 그 원인을 해소하면 부도 처분을 취소시킬 수 있어 도산과는 거리가 멀지요. 

 예를 하나 들어볼까요.

태평물산은 11월 27일을 만기로 하는 5천만원 짜리 약속어음을 거래처로부터 받았습니다.
마침 협력업체에 5천만원을 주어야 했던 태평물산은 받을 돈 5천만원을 믿고 만기를
11월 29일로 한 어음을 끊어주었습니다.

그런데 27일이 되자 거래처가 돌연 부도를 냈습니다.
다급해진 태평물산은 자력으로 우선 29일 만기가 돌아오는 5천만원을 막기 위해 급전을
빌리러 나섰지만 실패했습니다.

12월 5일이 되면 다른 거래처로부터 1억원을 받을 수 있는 어음이 있지만
이 때는 너무 늦지요. 이 바람에 이 회사는 부도가 나버렸습니다.

아무리 흑자를 내고 장사를 잘 해도 이처럼 갑작스레 부도를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흑자 부도라고 합니다. 또 거래처의 부도로 인해 덩달아 부도가 난 경우여서
연쇄부도라고도 하지요.

참고로 A급어음(신용이 좋은 회사)은 은행에서 할인 받을 때 할인료도 싸구요
또 그런 어음은 한국은행에서 할인을 해주기도 한답니다.
보통 적격업체 어음이라고 부르지요

사실 오늘 드리는 포스팅 내용은 2009.11.09부터 시행되는 전자어음에 설명 드리려고
했는데 그냥 드리면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을것 같아서 먼저 어음과 수료의 이해부분을
설명 드립니다. 곧 ... 전자어음에 대하여 포스팅 드리겠습니다 ~

 

유익하셨다면  아래   View on 버튼을 눌러주세요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